JAVA & Kotlin
-
1. File I/O를 이해해보자JAVA & Kotlin/인터페이스 활용 2023. 7. 22. 22:11
겉으로 볼 때 복잡한 코드처럼 보이는 자바의 File I/O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FileReader("file.txt")); new를 쓰고 안에 new를 또 쓰네? 너무 어려운데? 근데 파일을 읽을 때 거의 이런식으로 하네? 그냥 써보자. 잘되는데? 자바 쉽네... 이렇게 공부를 하는 사람이 많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사용하다가 에러가 발생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바로 검색하고 물어보고, 우리는 그런 코더가 되지 말자. 자바 File I/O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게 Reader, Writer InputStream, OutputStream 이 4가지 클래스를 알아야한다. (자바의 파일관련 패키지는 java.io에 존재) 4가지 클래스중 Read..
-
0. 인터페이스 기반 프로그래밍JAVA & Kotlin/인터페이스 활용 2023. 7. 22. 20:29
API 문서를 활용해 클래스 구조 파악하기 여러분들은 Vector라는 클래스를 사용하기 전에 API문서를 읽어본 적이 있는가? 그냥 책에서 검색해서 Collection을 쓰려면 이렇게 쓰면된다 이런식으로 공부해서 이때까지 사용해왔는가? 이렇게 공부해서 사용한다면 너무 힘들지 않은가? 클래스 이름도 다양하고 클래스에 해당되는 메서드도 많고 그 많은 클래스와 메서드를 다 외우면서 사용하면 힘들다고 생각한다. API문서를 사전처럼 사용하면서 자바의 객체 지향을 더욱 깊게 이해해보자. JDK 1.8버전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이해해보자.
-
1. 객체가 뭡니까?JAVA & Kotlin/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2023. 7. 15. 21:05
이 글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카테고리에 있는 글을 차례대로 봐야지 이해하기 편할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에게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란 정확히 뭡니까?"라는 질문을 듣는다면 어떻게 대답할건가요? 먼저 검색이나 대부분 자바 책에서 정의한 내용을 보도록하죠. "존재하는 사물 혹은 개념, 논리와 같은 무형적인 것들도 객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대답한다면 그 사람은 책보고 그냥 외운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잘못된거라고 말하는게 아니다) 제가 이해하고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조금이라도 객체지향을 이해 하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잘못된 점이나 같이 생각해볼 주제가 있다면 댓글 또는 이메일로 문의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객체' 컴퓨터로 이 현실 세계를 어떻게 표현해야할지를 생각..